반응형 자본주의2 [절약]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3부 - 금융지능은 있는가 작년 8월, DLF 사태를 기억하는지? 은행에서 원금손실 없이 안전한 상품이라며 DLF(금리연계형 파생결합증권)을 판매했지만 90% 이상의 원금 손실률을 달성해 많은 소란이 있었던 사건이다. 이는 은행의 불완전판매 등의 이유로 많은 비판을 받았다. 금융지능이 낮은 사람이라면 처음 이 이야기를 들었을 때 이해하기 어려움을 느낀다. 파생상품, 불완전판매, 채권, 수익률 같은 낯선 개념이 등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금융지능이 필요하다. 금융지능이란 자신의 금융지식을 자각하고 충동을 제어해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쉽게 말해 내 자산이 얼마만큼 있는지, 어디에 어떻게 써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지에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이 금융지능이다. 우리 사회는 돈에 관심을 가.. 2020. 7. 30. [절약]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2부 - 소비는 감정이다 재테크의 핵심은 투자가 아닌 저축이다. 저축을 하기 위해서는 소비를 줄여야 하는데, 소비를 줄이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왜 우리는 소비를 조절하기 힘들어할까? 소비를 조절하기 위해선, 우리가 왜 소비를 하게 되는지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youtu.be/JswklI5 vrBk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2부 - 소비는 감정이다. 소비자들은 주체적으로 소비를 하는 것이 아니라 소비에 휘둘리고 있다. 모든 기업들이 뇌과학까지 연구해가며 소비자들의 말초신경을 자극하고, 감정적인 부분에 호소하여 소비하도록 만든다. 사람들은 무의식으로 구입하고, 의식으로 합리화한다. 특히 기업이 가장 많이 자극하는 감정은 불안함, 소외감 같은 부정적인 감정들이다. 사람들은 좌절을 느끼거나 배척당한다고 생각되는 경우 나 .. 2020. 5. 21. 이전 1 다음 반응형